쓰나미란 무엇일까요?
쓰나미란 지진, 화산 분화, 연안의 산사태, 해저 토사붕괴, 운석 낙하 등에 따른 대규모 바닷물 변동에 따라 일어나는 파장이 긴 파도입니다.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쓰나미는 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발생합니다. 여기에서는 지진에 의해 일어나는 쓰나미에 대해 설명합니다.
지진에 의한 쓰나미 발생 메커니즘: 해저의 융기/침강이 일으킨다
지진이 일어나면 진원 부근에서는 지면이 들어올려지거나(융기) 내려가는(침강) 일이 발생합니다. 지진이 해역에서 발생하고, 진원이 해저 밑의 얕은 곳에 있으면, 해저면의 상하 변화는 해저에서 해면까지의 해수 전체를 움직여, 해면도 상하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바닷물의 변화가 파장이 긴 파도로서 주변으로 퍼져 나갑니다.
쓰나미의 특징: 빠른 속도로 몰려와 거대한 파괴력을 지닌다
바다의 표면만 움직이는 통상적인 파도(파랑)와는 달리 쓰나미는 해저에서 해면까지의 해수 전체가 움직여 해안으로 밀어닥칩니다. 파도와 파도의 간격(파장)이 수 m에서 수백 m인 파랑에 대해, 쓰나미의 파장은 수 km에서 수백 km나 되며, 길 경우에는 수십 분에 걸쳐 해안으로 계속 몰려옵니다.
또한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에서는 거대한 쓰나미가 복잡한 만으로 진입해, 만이 좁아진 장소에 물살이 집중됨으로써 해저를 깊숙히 헤집어, 대량의 토사를 휘감아 올림으로써 검은 파도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토사를 머금은 검은 해수는 통상적인 해수에 비해 강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도시 전체를 통째로 파괴시킬 정도의 파괴력
쓰나미는 에너지가 큰 파도이며, 높이가 30cm라 해도 서 있는 사람의 발목 위치까지 오르면 그 사람을 휩쓸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높이가 2m를 넘으면 목조가옥을, 수십 m를 넘으면 철근 콘크리트 건물까지 파괴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쓰나미는 한 차례의 파도로 끝나지 않고 제2, 제3의 파도가 계속 밀려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밀려오는 쓰나미는 도시를 파괴하고, 토사나 잔해물을 휘감아 들임으로써 한층 더 파괴력이 커집니다. 그리고 바다로 되돌아가는 파도 또한 도시를 파괴합니다.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괴멸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해안 부근에서 올림픽 100m 달리기 선수와 비슷한 속도
쓰나미가 진행하는 속도는 바다 깊은 곳에서는 제트 비행기의 속도와 비슷합니다. 육지로 다가오면서 바다가 얕아질수록 속도는 느려지지만, 해안 부근에 도달해도 100m 달리기의 올림픽 선수 레벨의 속도가 있습니다. 그 때문에 쓰나미를 목격한 다음에 도망치면 이미 늦다는 말이 있습니다. 또한 얕은 곳에 도달해 속도가 느려진 쓰나미를 그 다음 쓰나미가 따라잡아 덮치기 때문에 쓰나미는 해안 부근에서 급격하게 높아집니다.